라떼군 이야기
구독이 포함된 하이브리드 iOS 앱 심사 내용 정리
Problem
하이브리드 앱으로 구독이 포함된 iOS
앱의 심사를 진행하면서 이슈가 됐었던 내용을 추후 같은 작업 시 도움을 받고자 기록 차원에서 메모 형식으로 정리한다.
Solution
Apple로 로그인
Apple
로 로그인 및 등록 버튼은 가이드1에 따라 버튼을 만들어야 한다. 임의로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애플 로고를 다르게 배치하는 등은 리젝 사유가 된다. 나는 아래와 같이 입력했다.
- 로그인 시: Apple로 로그인
- 가입시: Apple로 등록
Apple로 로그인 후 추가정보 입력
Apple
로 로그인 및 등록 후에는 추가 정보를 입력 받아서는 안된다. 바로 가입되지 않고 추가 정보를 입력 받아야 한다면 리젝 사유가 됐다.
인앱상품 심사용 추가 정보 입력
다양한 내용으로 입력할 수 있지만 나는 아래와 같이 입력했다.
내 계정의 구독하기를 통해 구독이 가능하고, 구독 후 결제내역에서 구독 해제를 할 수 있습니다. 상품은 정기 결제 x개월, x개월, x개월의 상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구독과 관련된 내용은 약관에도 반영되있고, 결제 전 사용자에게 충분히 안내하고있습니다.
인앱상품 등록시 EULA 등록
인앱 상품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Apple의 표준 최종 사용자 사용권 계약(EULA)
을 사용하면 안됐다. 사용자 설정 사용권 계약
를 선택하고 서비스에 맞는 약관을 입력한다.
인앱상품 가격 표기
인앱 상품의 가격을 좀 더 극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 정가 및 할인 가격을 나눠서 표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등록한 인앱 상품의 가격 정보와 일치않지 않는 경우 리젝사유가 됐다.
인앱상품 리젝 후 앱 심사 시 리뷰 요청
별도 요청하지 않으면 인앱 상품은 리뷰해 주지 않았다. 아래처럼 메모에 입력해서 심사 받도록 하자.2
Can you please review these in-app purchases:
- Apple ID: 000, Product ID: 000
웹 앱인 경우 완성도 문제
완성도가 떨어져 보이거나 웹 페이지의 동작 오류가 있는 경우 리젝 사유가 된다. (웹에서 뒤로가기 버튼이 동작하지 않는 등의 이유) 이 경우 앱에서 웹뷰의 히스토리 관리 등 대응하여 적절하게 구현이 필요하다.
인앱 상품 별도 심사 제출
인앱 상품은 앱 승인과 상관없이 별도 심사를 받아야 한다. 심지어 인앱 상품의 심사가 완료되지 않아 앱에서 제대로 결제가 되지 않는 상황이라도 앱은 승인이 됐다. 결제 상품과는 별도로 관리되고 있는 듯 하다. 따라서 앱과 결제 상품 별도로 생각해야하고 모두 승인이 되야 정상 동작한다.